자유식 적금이자 높은 은행과 상품 Best5 알아보기 - 20년 5월
- 예금,적금
- 2020. 5. 22.
현재 시중의 17개 은행 중에서 자유적금은 모든 은행이 취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은행마다 자격 조건 및 금리는 다르기 마련인데요.
열심히 모은 내 돈을 어디에 맡길지, 고민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이왕 돈을 맡긴다면, 안정성은 물론이고, 조금이라도 이자를 통해 이익을 얻고 싶은게 사람의 마음인데요.
최근 이어지는 경제 불황속에 저금리 시대지만, 그래도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적금이자가 높은 은행과 어떤 상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은행별 적금 금리 알아보기
현재 BNK경남은행이 3개, BNK부산은행 2개, DGB대구은행 2개, IBK기업은행 3개, KB국민은행 3개, NH농협은행 3개, SH수협은행 2개, 광주은행 2개, 신한은행 7개, 우리은행 8개, 전북은행 4개, 제주은행 3개, 케이뱅크은행 2개, 하나은행, 한국씨티은행, KDB산업은행,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이 각각 1개씩 취급하고 있습니다.
6개월 만기로 가능한 상품은 17가지가 있는데, 그 중 케이뱅크의 '주거래우대 자유적금' 과 DGB대구은행의 '내가만든 보너스적금' 이 1.15%로 공동 1위로 가장 금리가 높았고, 제주은행의 '사이버우대매일부금' 이 1.3%로 그 다음으로 높았습니다.
1년 만기 기준
1년 만기 조건일 경우, 상위 10%의 상품은 SH수협은행의 SH해양플라스틱Zero! 적금이 2.1%로 가장 높았습니다. 그 다음은 우리은행의 Won적급으로 2.0%로 였고, 신한스마트적금과 케이뱅크의 K코드 자유적금이 1.8%로 동일했습니다.
1년 만기 적금의 평균금리는 1.2094% 입니다.
2년 만기 기준
2년 만기 조건의 경우, 상위 10%의 상품은 SH수협은행의 SH해양플라스틱Zero! 적금으로, 2.2% 입니다. 그 다음은 케이뱅크의 코드K자유적금으로 1.85% 입니다.
상위 10%에 포함이 되지는 않지만, 높은 순으로 나열하면 우리은행의 스무살우리적금이 1.8%로 높았습니다.
2년 만기 적금의 평균금리는 1.2924% 입니다.
3년 만기 기준
3년 만기 조건의 경우, 상위 10%의 상품은 신한은행의 신한새희망적금이 2.6%로 제일 높았습니다. 그 다음은 SH수협은행의 SH해양플라스틱Zero! 적금으로 2.3% 입니다.
상위 10%에 포함 되지는 않지만, 케이뱅크의 K코드자유적금 역시 1.9%로 평균금리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3년 만기 적금의 평균금리는 1.3845% 입니다.
현재 아무리 금리가 높은 곳이라고 해도 3%대를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직적으로 이자를 받을 때는, 세금을 제하고 받기 때문에 세후 금액을 생각하면 아쉬운 이율임에는 틀림이 없지요. 그래도 주거래은행 일 경우, 우대금리의 혜택을 받으실 수 있기 때문에, 주거래에서 실행하고 있는 상품들 위주고 먼저 찾아보시면 더욱 도움을 받으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예금,적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은행 입출금통장(IBK도토리통장) 개설 방법 및 주의사항 (0) | 2022.08.04 |
---|---|
DGB대구은행 황금빛예금(일반형)과 vs DGB대구은행 황금빛예금(연금형) 비교하기 (0) | 2022.08.01 |
광주은행 찐모바일적금, 6개월 만기에 최대 5.25% (0) | 2022.07.28 |
제주은행 MZ플랜적금, 우대금리 혜택이 이렇게 많다고? (0) | 2022.07.26 |
KB국민ONE적금(정액적립식) 장.단점 비교하기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