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거치기간 및 비거치기간 장단점 비교하기
- 금융정보
- 2022. 8. 18.
주택담보대출 거치기간이 있는 상품과 비거치기간 상품이 있습니다.
이 차이점이 무엇일까요?
주택담보대출 거치기간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거치기간을 설정해 거치기간 동안은 이자만 내고, 거치기간이 끝나고 원리금균등 또는 원금균등 중 본인이 설정한 방법대로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즉, 거치기간 동안 이자만 납부하다 거치기간이 끝나면 원금+이자를 상환하게 됩니다.
주택담보대출 비거치기간
비거치기간은 거치기간 없이 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후, 바로 원리금균등 또는 원금균등 중 본인이 설정한 방법대로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즉, 원금+이자를 처음부터 같이 상환하는 방법입니다.
장단점
거치식은 초기 상환 부담이 적기 때문에, 수익형 부동산 대출에 많이 사용됩니다.
지금 당장은 수익 구조가 확실하지 않지만, 몇 년후부터는 꾸준한 수익이 들어온다면 거치식으로 대출을 받는 것이죠.
반면 비거치식은 처음부터 원금+이자를 같이 상환하기 때문에 부담은 있지만, 전체적으로 납입하는 이자를 봤을 때는 거치식보다 더 적은 이자를 내게 됩니다.
예상이자
원리금균등, 원금균등, 만기일시상환(거치식)으로 보았을 때, 각자의 이자를 비교해보겠습니다.
조건은 2억원의 돈을 5%의 금리로 40년 만기 상품으로 대출했을 때 입니다.
비거치식 원금균등
원금을 40년으로 나눈 다음, 남은 금액에 대해서 이자를 부과하는 원금균등의 경우 첫 달에는 납부하는 금액이 크지만 나중으로 갈 수록 부담이 적어집니다.
총 납입 이자는 200,416,667원 입니다.
비거치식 원리금균등
총 납부할 금액의 원금과 이자를 매달 같은 금액으로 나누어 납입하는 원리금 균등의 경우, 처음부터 끝까지 964,393원을 납부하게 됩니다.
총 납입 이자는 262,908,737원 입니다.
거치식 만기 일시 상환
현재 주택담보 대출의 거치기간은 10년 정도 입니다.
지금 계산은 이해하기 쉽도록 40년의 거치기간을 두었습니다.
(실제로 2억을 빌릴 경우, 10년의 거치기간이라면 이자는 줄어들게 됩니다.)
만기 일시 상환하는 경우 총 납입 이자는 400,000,000원 입니다.
똑같은 조건에서 계산을 했을 때, 같은 돈을 같은 이자로 빌리더라도 상환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일, 실거주를 목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다면 소득이 증가할 일이 적기 때문에, 이자 부담을 줄여 상환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그렇지만, 임대사업자를 운영하며 월세를 받아 꾸준히 수익이 보장이 된다면, 당장은 부담없이 이자를 납부하다 후에 건물 월세를 받게 될 때, 상환하시는 방법을 선택하시면 되겠죠.
어떤 것이 좋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본인의 자금 상황이나 계획에 맞추어 어떤 것이 유리한지 따져보고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퇴거자금(반환보증금)대출 자격조건, 금리, 한도 알아보기 (0) | 2022.08.24 |
---|---|
2022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 차이, 대출한도 알아보기 (0) | 2022.08.23 |
신용점수제로 변화되는 신용등급, 올리는 꿀팁 5 (0) | 2020.08.06 |
신용대출 금리 신용등급별 비교하기 (2020년 3월 공시) (0) | 2020.03.26 |
1금융권 금리비교, 2019년 11월 (0) | 2019.12.05 |